본문 바로가기
돈되는 정보

청년도약계좌 신청자격 및 기간 총정리

by 도움되는정보통 2023. 4. 18.
반응형

청년도약계좌 신청자격 및 기간 총정리

청년들이 재테크를 하기 위해 첫 번째로 해야 할 일은 바로 목돈 만들기라 생각합니다. 어느 정도 목돈이 모여야 다른 투자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. 정부에서 운영하는 청년도약계좌를 이용하면 최대 144만 원의 기여금을 지원을 받을 수 있기에 조건에 해당되는 청년들은 꼭 받아야 하는 혜택입니다. 

 

청년도약계좌 신청 자격

 

 

 

 

 

  • 개인 소득 7500만 원 이하(6000만 원 이상 7500만 원 이하는 비과세 혜택만)
  • 만 19세 ~ 만 34세 청년(군복무 기간 추가 가산)
  •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 

가입 시 만 34세 이하 조건이 충족된다면 만기 5년간의 혜택은 그대로 유지되니 참고 바랍니다. 또한 중위소득 180% 이하 조건도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. 아래링크에 중위소득 180% 기준이 있으니 가구원 수를 고려해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. 또한 최근 3개년도 내에 종합금융과세대상자는 신창자격에서 제외됩니다.

 

 

 

2023년 기준 중위소득 100%, 150%, 180%

오늘은 2023년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국가에서 운영하는 복지 및 지원사업을 받을 경우 많이 이용됩니다. 중위소득 100% 가구원수 중위소득 100% 1 2,077,892 2 3,456,155 3 4,434,816 4 5,400,9

a.aloteast.com

 

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

청년도약계좌는 6월부터 비대면 신청으로 이루어질 계획입니다. 세부적인 내용은 6월 발표 후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. 22년 소득 확정이 되기 전에는 21년 소득을 기준으로 측정할 예정이라 합니다. 가입일 기준으로 1년마다 자격심사가 예정되어 있으니, 소득이 증가하거나 줄어든다면 그에 맞게 정부기여금이 조정됩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안내

청년도약계좌의 월 저축액은 40만 원에서 70만 원입니다. 만기는 5년이며, 첫 3년은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마지막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. 이자소득에 대한 부분은 비과세인 것도 굉장한 장점입니다.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청년도약계좌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기여금입니다. 기여금의 지급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.

개인소득(총급여 기준) 기여금 지급 한도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
2400만 원 이하 40만원 6.0% 2.4만원
3600만 원 이하 50만원 4.6% 2.3만원
4800만 원 이하 60만원 3.7% 2.2만원
6000만 원 이하 70만원 3.0% 2.1만원
7500만 원 이하 이자 비과세 혜택만

 

예를 들어, 총급여가 3200만 원인 사람이 매달 70만 원씩 5년 간 납입한다면, 원금 4200만 + 기여금 138만 + 이자 537만(예상) 이렇게 총 4875만 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
 

청년희망계좌와 비교

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과는 중복가입이 불가능합니다. 다만 청년내일저축계좌, 청년내일 배움 공채, 지자체지원상품과는 중복가입이 가능합니다. 만약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지났거나 해지하였다면 신청이 가능합니다.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2년, 총 급여액 3600만 원 이하 그리고 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의 청년이 신청가능합니다. 2년 간의 최대 기여금은 36만 원입니다. 청년도약계좌는 최대 144만 원이니 연평균 기여금이 청년도약계좌가 더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. 

 

오늘은 청년도약계좌 신청 자격과 신청방법 등 전반적인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. 6월에 꼭 신청하셔서 목돈 만들기에 성공하시기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

반응형

댓글